최광철 미주부의장, 제20기 달라스협의회 출범식 참석
“한반도 종전선언, 미의회 초당적 지지 얻어내야 가능”
“달라스협의회, 텍사스 공화당 지지 얻는 데 힘 써야”
한반도 종전선언을 이끌어내는 데 민주평통 달라스협의회(회장 김원영)가 유의미한 역할을 하는 데 유리한 위치에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10월 8일(금) 열린 제20기 민주평통 달라스협의회 출범식에서 최광철 미주부의장이 달라스협의회가 미의회 종전선언 결의안 채택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달라스협의회 역할론’을 띄웠다.
제20기 민주평통의 활동 목표는 한반도 종전선을 토대로 한 평화 정착, 그리고 이어지는 남북통일의 기반 구축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미국의 동의를 얻어내는 게 중요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미의회 정치인들에게 종전선언에 대한 한인사회의 의견을 전달하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달라스협의회가 그 역할을 수행하는 데 유리한 위치에 있다는 주장의 배경은 무엇일까?
지난 116기 미 연방하원 회기에서 한국전 종전선언 결의안(HR152)이 민주당 소속 로 카나(Ro Khanna) 의원에 의해 발의됐다가 외교위원회에 상정도 못 되고 폐기된 바 있다.
하지만 이 결의안은 52명의 연방의원들의 지지서명을 이끌어내는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현재 117기 미 연방하원 회기에 이와 유사한 법안이 상정돼 있는데, 민주당 소속 브래드 셔만(Brad Sherman) 의원이 발의한 한반도 평화 법안(HR3446)이 바로 그 것이다. 이 법안은 9월말 기준, 총 23명의 연방하원의원들의 지지를 얻고 있다.
최광철 부의장은 미의회에서 종전선언을 관철시키려면 민주당과 공화당 의원들 초당적 지지를 얻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최 부의장에 따르면 지난 116기 회기의 종전선언 결의안은 단 한명의 공화당 의원만 지지했을 뿐, 모든 지지자들이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었다.
한반도 종전선언이 자칫 미국 정치의 ‘진보와 보수’ 또는 ‘민주당과 공화당’의 대결로 비춰질 수 있다는 게 최 부의장의 지적이다.
최 부의장은 달라스가 아버지 부시와 아들 부시 대통령의 고장이며, 인근 오클라호마와 알칸사주가 공화당 텃밭이라는 점에서 달라스협의회가 할 일이 크다고 지적했다.
최 부의장은 제20 민주평통 달라스협의회 출범식 축사에서 “텍사스 자체가 공화당의 아성이고, 주변 지역이 공화당의 텃밭이다”라며 “한반도 이슈는 좌·우의 이슈가 아닌, 미국의 헌법과 국익에 정확히 일치하는 이슈”라고 말했다.
최 부의장은 그러면서 “좌로도, 우로도 한쪽으로는 달성할 수 없다. 한반도에 평화가 오면 미국 자체에 엄청난 이익이 된다는 메시지를 우리가 유권자의 자격으로, 당당한 미국의 시민권자로서 전달을 해야 한다”며 “그 중심에 달라스협의회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 굉장히 흐뭇하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은 외교가 중요한 나라라고 지적한 최 부의장은 공공외교의 핵심은 외교 외연을 확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외교 외연을 확대한다는 것은 외교 주체를 확대하는 것이라는 게 최 부의장의 설명이다.
최 부의장은 “우리가 지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이후에 남·북·미 회담이 이뤄질 때 많은 희망과 꿈을 가졌지만, 갑자기 붕괴돼 버렸다”며 “이제 다시 조금씩 희망은 보이지만, 우리가 배운 교훈이 있다. 그것은 바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과정을 남·북·미 당국에만 맡겨서는 안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국회, 한국 국민, 그리고 재외 동포들이 각자 있는 곳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게 바로 공공외교라고 최 부의장의 설명했다.
최 부의장은 “우리 해외 동포들은 잘 먹고 잘 살려고 해외로 이민간 게 아니다”라며 “각 해외 지역, 특히 250만 한인이 있는 미주에서 동포들은 이 지역의 소중한 외교자산이다”라고 피력했다.
최 부의장은 “미주 20개 협의회가 올해는 조금 더 적극적으로 한반도 평화 공공외교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라며 “제20기 민주평통은 역사에 남을 일들을 벌여, 향후 제21기가 더 큰 일을 할 수 있는 바탕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토니 채 기자 editor@texasenews.com